필고 카톡
친추
필리핀 사람들 인건비(16)![]()
Views : 5,846
2023-09-30 00:01
자유게시판
1275458727
|
불과 13년전만 하더라도 제가 살았던곳 로컬 깐띤 2010년도 당시 최저 임금이 있었음에도
그때 제가 살던 마닐라 장사 잘되던 깐띤에서는
식사 제공에 보딩 하우스(직원숙소) 제공을 해주고 하루 10시간~11시간 정도 일을 시키고
하루 일당 100페소를 주었던 ....
직원들 거의 먼 지방에서 마닐라로 상경한 시골 젊은 사람들이 대부분이었죠
그런 로컬 업체들은 제가 경험상 거의 신고를 하지 않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최저 임금도 안되는 그런 대우를 받으면서ㅓ ...
그런데 업주들이 그런거 걸리지 않기 위해 이런 저런 장치들을 만들어 놔서...
그런데 외국인이 하는 그런 식당이나 비슷한 업종들은 ...
무슨 단합을 했는지 일하던 직원이 횡령을 하거나 그외 금전 문제로 그외 등등...
거의 99% 신고를 하더라구요....
최저 시급을 주면서 그사람들에게 많은것을 바라는것은 정말 진흙속에서 진주 찾는것과 다를것이 없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딱 그만큼의 돈가치를 해주고 더이상 더 이하....
그냥 그돈에 맞는 대우...
클라이언트 입장에서는 수없이 지나간 종업원들이나 직원들중 진주를 찾아서
관리를 잘하셔야 겠지요....
그때 제가 살던 마닐라 장사 잘되던 깐띤에서는
식사 제공에 보딩 하우스(직원숙소) 제공을 해주고 하루 10시간~11시간 정도 일을 시키고
하루 일당 100페소를 주었던 ....
직원들 거의 먼 지방에서 마닐라로 상경한 시골 젊은 사람들이 대부분이었죠
그런 로컬 업체들은 제가 경험상 거의 신고를 하지 않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최저 임금도 안되는 그런 대우를 받으면서ㅓ ...
그런데 업주들이 그런거 걸리지 않기 위해 이런 저런 장치들을 만들어 놔서...
그런데 외국인이 하는 그런 식당이나 비슷한 업종들은 ...
무슨 단합을 했는지 일하던 직원이 횡령을 하거나 그외 금전 문제로 그외 등등...
거의 99% 신고를 하더라구요....
최저 시급을 주면서 그사람들에게 많은것을 바라는것은 정말 진흙속에서 진주 찾는것과 다를것이 없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딱 그만큼의 돈가치를 해주고 더이상 더 이하....
그냥 그돈에 맞는 대우...
클라이언트 입장에서는 수없이 지나간 종업원들이나 직원들중 진주를 찾아서
관리를 잘하셔야 겠지요....
인공지능 답변
필리핀의 인건비 문제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13년 전과 현재의 필리핀의 인건비 상황은 많이 변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저 임금은 증가하였고, 업계 내에서 최저 임금 이하의 대우를 받는 일이 줄어들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일부 로컬 업체들은 최저 임금도 안되는 대우를 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해외인이 운영하는 식당이나 비슷한 업종에서는 직원들의 횡령이나 금전 문제로 인한 신고 사례가 많다고 말씀하셨는데, 이는 개별적인 사례이며 일반화할 수는 없습니다. 신고 사례가 많은 것은 외국인 업주들이 더 철저한 관리를 하고 있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직원들에게 많은 것을 바라는 것은 그 사람들에게 지나치게 높은 기대를 가지는 것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사업을 운영하는 입장에서는 일부 직원들의 성실함과 능력에 의해 사업의 성패가 결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업주 입장에서는 직원들을 잘 관리하고 대우해야 하며, 진주를 찾을 수 있는 균형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총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인건비와 관련하여 모든 업체가 동일하게 대우하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일부 업체는 최저 임금 이상의 대우를 하고 있지만, 일부 업체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솔루션은 국가 정부와 노동력 단체들이 협조하여 근로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최저 임금 수준을 잘 지키도록 하는 것입니다.
13년 전과 현재의 필리핀의 인건비 상황은 많이 변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저 임금은 증가하였고, 업계 내에서 최저 임금 이하의 대우를 받는 일이 줄어들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일부 로컬 업체들은 최저 임금도 안되는 대우를 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해외인이 운영하는 식당이나 비슷한 업종에서는 직원들의 횡령이나 금전 문제로 인한 신고 사례가 많다고 말씀하셨는데, 이는 개별적인 사례이며 일반화할 수는 없습니다. 신고 사례가 많은 것은 외국인 업주들이 더 철저한 관리를 하고 있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직원들에게 많은 것을 바라는 것은 그 사람들에게 지나치게 높은 기대를 가지는 것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사업을 운영하는 입장에서는 일부 직원들의 성실함과 능력에 의해 사업의 성패가 결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업주 입장에서는 직원들을 잘 관리하고 대우해야 하며, 진주를 찾을 수 있는 균형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총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인건비와 관련하여 모든 업체가 동일하게 대우하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일부 업체는 최저 임금 이상의 대우를 하고 있지만, 일부 업체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솔루션은 국가 정부와 노동력 단체들이 협조하여 근로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최저 임금 수준을 잘 지키도록 하는 것입니다.
아루나 [쪽지 보내기]
2023-09-30 00:17
No.
1275458728
제가 살고 있는 시골은 이상하게도 노숙자(?) 거지(?) 그런 사람들을 찾아보기가 힘듭니다.
간혹 로컬 시장에 장보러 나가면 거동이 힘드신 나이 많은 70대 이상 ...
그런 노인 2명... 그외에는 아이들이나 성인들이 길거리 노숙하거나 돈 구걸 하는 경우는 아직 단한번도 본적이 없습니다.
어업이 주된 돈벌이 수단인 동네이다 보니 ....
십수년전 당시 동서 이야기 들어보면 길거리 고양이도 비싼 생선 안주면 안먹었다는..
그런 우스게 소리도 하더라구요.
간혹 로컬 시장에 장보러 나가면 거동이 힘드신 나이 많은 70대 이상 ...
그런 노인 2명... 그외에는 아이들이나 성인들이 길거리 노숙하거나 돈 구걸 하는 경우는 아직 단한번도 본적이 없습니다.
어업이 주된 돈벌이 수단인 동네이다 보니 ....
십수년전 당시 동서 이야기 들어보면 길거리 고양이도 비싼 생선 안주면 안먹었다는..
그런 우스게 소리도 하더라구요.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아루나 [쪽지 보내기]
2023-09-30 00:47
No.
1275458733
지금도 필리핀 경험이 거의 없는 한국분들은 필리핀 시골 사람들은 1000페소짜리를
도시에 와서 처음 구경 한다는 그런 말도 안되는 헛소리들 하는분들이 아직도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필리핀 시골 생활 해보니 6살짜리 꼬맹이도 주머니에서 1000페소 짜리 나오는걸 보고는
많이 놀래긴 했지만 ... 점차 살아보니 이상하지 않은 상황....
다른건 모르겠구요... 필리핀 시골 사람들 다들 신기하게 생각하는건
한국 김 먹으라고 주니 ... 처음 김을 본 사람들은 100% 거부...
그걸 먹는 저를 보면서 야만인 보듯 ㅎ
또 하나 시골 사람들이 신기하게 보는건 맥주나 현지 양주( 엠페라도,알폰소 등등) 얼음없이 마시는걸 정말 신기하게 보더군요
도시에 와서 처음 구경 한다는 그런 말도 안되는 헛소리들 하는분들이 아직도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필리핀 시골 생활 해보니 6살짜리 꼬맹이도 주머니에서 1000페소 짜리 나오는걸 보고는
많이 놀래긴 했지만 ... 점차 살아보니 이상하지 않은 상황....
다른건 모르겠구요... 필리핀 시골 사람들 다들 신기하게 생각하는건
한국 김 먹으라고 주니 ... 처음 김을 본 사람들은 100% 거부...
그걸 먹는 저를 보면서 야만인 보듯 ㅎ
또 하나 시골 사람들이 신기하게 보는건 맥주나 현지 양주( 엠페라도,알폰소 등등) 얼음없이 마시는걸 정말 신기하게 보더군요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samgy [쪽지 보내기]
2023-09-30 01:05
No.
1275458735
지금도 지방에서 데려다 쓰는 사람들 많아요
특히, 시장 잡부들, 야야, 주방아줌마 등등...
3식 제공하고 숙소 만들어주고 150페소에서 200페소 받더라구요.
고급인력을 필요로 한다면 그에 맞게 맞춰서 급여지급을 해야 겠지요
근데 SM 판매직, 졸리비 직원들도 최저임금 밖에 못받습니다.
차비 빼고 밥값 빼면 얼마 안되는 돈인데
같은 급여에 밥도 주고 자기집에서 더 가까운데 선호도 면에서 졸리비 같은 곳 못 이깁니다.
그래서 식당이나 커피샵, 식품점 등 직원 뽑는게 어려워요.
저희 가게도 4명있다가 1명이 학업문제로 그만뒀는데 그냥 와이프가 땜빵하고 있습니다.
큰식당이나 프렌차이즈 커피샵 말고는 급여 많이 줄만큼 수익이 많지도 않고요..
제일 큰 어려움 같아요 필리핀에서 장사하면서 느끼는
특히, 시장 잡부들, 야야, 주방아줌마 등등...
3식 제공하고 숙소 만들어주고 150페소에서 200페소 받더라구요.
고급인력을 필요로 한다면 그에 맞게 맞춰서 급여지급을 해야 겠지요
근데 SM 판매직, 졸리비 직원들도 최저임금 밖에 못받습니다.
차비 빼고 밥값 빼면 얼마 안되는 돈인데
같은 급여에 밥도 주고 자기집에서 더 가까운데 선호도 면에서 졸리비 같은 곳 못 이깁니다.
그래서 식당이나 커피샵, 식품점 등 직원 뽑는게 어려워요.
저희 가게도 4명있다가 1명이 학업문제로 그만뒀는데 그냥 와이프가 땜빵하고 있습니다.
큰식당이나 프렌차이즈 커피샵 말고는 급여 많이 줄만큼 수익이 많지도 않고요..
제일 큰 어려움 같아요 필리핀에서 장사하면서 느끼는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아루나 [쪽지 보내기]
2023-09-30 01:14
No.
1275458738
@ samgy 님에게...
여기 시골에서도 노가다 기술을 가진 마손(일당 700페소) 식사제공
그러다 보니 마닐라에 일당 1000페소를 준다고 해도 가지 않을려고 하더라구요.
잠은 건축하는곳 노상에서 거푸집 지어서 자거나 합판으로 지어서 그곳에서 자거나...
먹는건 직원들이 받는 일당으로 각자 해결 해야 하고
하지만 아직도 시골 젊은이들은 마닐라 그외 가까운곳에서 일하고 싶어하는
기대감과 꿈이 있더라구요
와이프 가족중 나이 20세~25세정도 조카들은 다들 허영끼만 있어서
어디 소개를 시켜주면 제가 욕들을까 싶어서 이야기도 안꺼내고
조카들이 도시에 일자리 소개 해달라고 하면 아예 들은척도 안합니다
대신에 저와 나이 비슷한 동서들 그외 또래 필리핀 남자들은 정말 부지런합니다.
다같이 밤늦게까지 술마시고도 다음날 아침 6시에 일나가는걸 보면....
진짜 시골 오리지널 로컬 사람들은 지네브라 마시더라구요.
네모난 각진 투명한병에 들어있는.... 알콜 도수가 40도 정도 되었던걸로 기억 하는데요
몇년전 와이프 친정에 가고 혼자 집에 2개월 정도 있을때 호기심에 큰병으로 2병 ...
과일맛 나는 가루쥬스에 얼음 타서 마셨더니 그런대로 마실만 해서
큰병으로 2병 마셨다가 이틀뒤에 정신 차렸던 기억이 있네요
여기 시골에서도 노가다 기술을 가진 마손(일당 700페소) 식사제공
그러다 보니 마닐라에 일당 1000페소를 준다고 해도 가지 않을려고 하더라구요.
잠은 건축하는곳 노상에서 거푸집 지어서 자거나 합판으로 지어서 그곳에서 자거나...
먹는건 직원들이 받는 일당으로 각자 해결 해야 하고
하지만 아직도 시골 젊은이들은 마닐라 그외 가까운곳에서 일하고 싶어하는
기대감과 꿈이 있더라구요
와이프 가족중 나이 20세~25세정도 조카들은 다들 허영끼만 있어서
어디 소개를 시켜주면 제가 욕들을까 싶어서 이야기도 안꺼내고
조카들이 도시에 일자리 소개 해달라고 하면 아예 들은척도 안합니다
대신에 저와 나이 비슷한 동서들 그외 또래 필리핀 남자들은 정말 부지런합니다.
다같이 밤늦게까지 술마시고도 다음날 아침 6시에 일나가는걸 보면....
진짜 시골 오리지널 로컬 사람들은 지네브라 마시더라구요.
네모난 각진 투명한병에 들어있는.... 알콜 도수가 40도 정도 되었던걸로 기억 하는데요
몇년전 와이프 친정에 가고 혼자 집에 2개월 정도 있을때 호기심에 큰병으로 2병 ...
과일맛 나는 가루쥬스에 얼음 타서 마셨더니 그런대로 마실만 해서
큰병으로 2병 마셨다가 이틀뒤에 정신 차렸던 기억이 있네요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Justin Kang (강태욱) [쪽지 보내기]
2023-09-30 02:36
No.
1275458745
@ 아루나 님에게...
마닐라 고속버스 터미날 가면 간혹 시골에서 단체로 상경하는 노가다 그룹 있데요, 각자 장비 한가방 아니면 한두 양동이씩 들고, 개인적으로 오는게 아니라 시골의 회사나 십장을 고용하면 자기 사람들 한 10~20명 데리고 같이 와서 현장에서 숙식하면서 일하고 끝나면 다시 내려 가는 것 같더군요.
마닐라 고속버스 터미날 가면 간혹 시골에서 단체로 상경하는 노가다 그룹 있데요, 각자 장비 한가방 아니면 한두 양동이씩 들고, 개인적으로 오는게 아니라 시골의 회사나 십장을 고용하면 자기 사람들 한 10~20명 데리고 같이 와서 현장에서 숙식하면서 일하고 끝나면 다시 내려 가는 것 같더군요.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jsaminkim [쪽지 보내기]
2023-09-30 10:48
No.
1275458780
stay in 헬퍼로 고용한 후 노점상이나 푸드 카트등에서 일하게 하는거죠
편법이긴 하지만 불법은 아닌 ;;;;
그런데 한국 사람들은 그런 방법(?)을 모르니 정직원으로 고용한 후 신고받는거죠
요즈음에야 헬퍼의 인권(?)이 올라가서 그렇지 말씀하신것처럼 13년, 20년전에는 헬퍼한테
3대 보험 들어줄 필요도 없었고, 13 month는 헬퍼들이 바라지도 않았고, 아예 그런 아이디어 조차 없었던때이긴 하죠..
요즈음에도 stay in 헬퍼로 고용한 후 장사 시키는 오너들 차고 넘쳐있습니다.
실제로 헬퍼 입장에서는 '유니폼 입고' 물건 파는것이 집에서 허드렛일 하는것보다는
품위(?)있고, 덜 힘드니 더 선호하죠
편법이긴 하지만 불법은 아닌 ;;;;
그런데 한국 사람들은 그런 방법(?)을 모르니 정직원으로 고용한 후 신고받는거죠
요즈음에야 헬퍼의 인권(?)이 올라가서 그렇지 말씀하신것처럼 13년, 20년전에는 헬퍼한테
3대 보험 들어줄 필요도 없었고, 13 month는 헬퍼들이 바라지도 않았고, 아예 그런 아이디어 조차 없었던때이긴 하죠..
요즈음에도 stay in 헬퍼로 고용한 후 장사 시키는 오너들 차고 넘쳐있습니다.
실제로 헬퍼 입장에서는 '유니폼 입고' 물건 파는것이 집에서 허드렛일 하는것보다는
품위(?)있고, 덜 힘드니 더 선호하죠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ea0566 [쪽지 보내기]
2023-10-05 06:00
No.
1275459964
@ jsaminkim 님에게...
조또 최저임금 안주는게 나쁜 새끼지. 인권이 보장되는 나라에서 가뜩이나 얼마되지 않는 필리핀 최저임금도 안 주고 사람 부릴려고 하는 너란 새끼는 그냥 개노무새끼인 것이 확실하다.
조또 최저임금 안주는게 나쁜 새끼지. 인권이 보장되는 나라에서 가뜩이나 얼마되지 않는 필리핀 최저임금도 안 주고 사람 부릴려고 하는 너란 새끼는 그냥 개노무새끼인 것이 확실하다.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jsaminkim [쪽지 보내기]
2023-10-05 14:49
No.
1275460055
@ ea0566 님에게...
일단 신고는 꾹 눌러드렸는데요 ㅎㅎ
제가 그런건 아니고 이런 경우가 의외로 허다합니다 ㅎㅎㅎ
이게 필리핀 현실이고, 이렇게 일 하려는 필리핀 사람들도 차고 넘치는것도 필리핀 현실이고요....
뭐 그들의 사는 방법인데 제가 뭐라 할 말은 없지만
저에게 쌍욕하는건 ㅎㅎㅎ
일단 신고는 꾹 눌러드렸는데요 ㅎㅎ
제가 그런건 아니고 이런 경우가 의외로 허다합니다 ㅎㅎㅎ
이게 필리핀 현실이고, 이렇게 일 하려는 필리핀 사람들도 차고 넘치는것도 필리핀 현실이고요....
뭐 그들의 사는 방법인데 제가 뭐라 할 말은 없지만
저에게 쌍욕하는건 ㅎㅎㅎ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스마트전당사 [쪽지 보내기]
2023-09-30 10:56
No.
1275458794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지만... 정말... ㅠ.ㅠ
올라도 너무 오르고... 인건비만(?) 싼 나라가 인건비가 비싸지니... ㅠ.ㅠ
올라도 너무 오르고... 인건비만(?) 싼 나라가 인건비가 비싸지니... ㅠ.ㅠ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메일박스입니다 [쪽지 보내기]
2023-09-30 12:51
No.
1275458819
그래서 보통 더미를 세우지 않나요? 로컬에서는 최저 인건비 이런거 없더라고요.
물론 큰 사업자는 다르지만.
물론 큰 사업자는 다르지만.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야화-1 [쪽지 보내기]
2023-09-30 14:19
No.
1275458835
코로나때 필리핀사람들 다 굶어죽을거라고
빨리 하늘길 열어야된다고 괜한 걱정해주시던 성님들 생각이 나네요ㅋㅋ
우리동네 로컬거지도 코로나잘버티고 잘지냄ㅎㅎ
빨리 하늘길 열어야된다고 괜한 걱정해주시던 성님들 생각이 나네요ㅋㅋ
우리동네 로컬거지도 코로나잘버티고 잘지냄ㅎㅎ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시라니 [쪽지 보내기]
2023-10-02 20:01
No.
1275459348
@ 야화-1 님에게...
코로나 때 필핀은 관광으로 먹고 사는 나라라 관광객 없으면 나라 망한다는 둥.. 콘도 40% 폭락한다는 둥 헛소리하는 분들 많으셨죠.. ㅎㅎ
코로나 때 필핀은 관광으로 먹고 사는 나라라 관광객 없으면 나라 망한다는 둥.. 콘도 40% 폭락한다는 둥 헛소리하는 분들 많으셨죠.. ㅎㅎ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대한상도 [쪽지 보내기]
2023-10-02 23:03
No.
1275459398
@ 시라니 님에게...
40프로 폭락은 실제로 아주 잠깐 그런 급매들이 있었긴 합니다. 근데 전체 시세가 그런게 아니다보니 락다운 기간에 나오는 족족 줍줍해가버렸고 바로 반등해버렸죠. 폭락 외치던분들은 그때 결국 아무도 못샀고.
40프로 폭락은 실제로 아주 잠깐 그런 급매들이 있었긴 합니다. 근데 전체 시세가 그런게 아니다보니 락다운 기간에 나오는 족족 줍줍해가버렸고 바로 반등해버렸죠. 폭락 외치던분들은 그때 결국 아무도 못샀고.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늙은스타벅스 [쪽지 보내기]
2023-10-02 14:57
No.
1275459252
tradingeconomics.com/philippines/minimum-wages#:~:text=Minimum%20Wages%20in%20Philippines%20averaged,89.00%20PHP%2Fday%20in%201989.
최저 임금이 많이 오르긴 했네요...
물가도 살벌하게 오르긴 했죠 ㅎㅎㅎ
최저 임금이 많이 오르긴 했네요...
물가도 살벌하게 오르긴 했죠 ㅎㅎㅎ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ea0566 [쪽지 보내기]
2023-10-05 06:03
No.
1275459965
@ 늙은스타벅스 님에게...
마닐라 최저임금 610페소입니다. 한국은 얼마인가요? 정신차리세요.
마닐라 최저임금 610페소입니다. 한국은 얼마인가요? 정신차리세요.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늙은스타벅스 [쪽지 보내기]
2023-10-05 10:50
No.
1275460004
@ ea0566 님에게...
아닌 밤중에 홍두깨?????
마닐라 최저임금610페소 맞습니다. ㅎㅎ
전 한국은 몰라요... 필리핀에서 공장하고 있으니요.
고객사에서 한국임금으로 공임을 주지는 않죠.
임금이 1년전하고 비교해서 35%가 올랐으니, 최저임금 많은 오른거죠
고객사에서 공임 올려줄 일은 없잖아요.
정신차리고 살아야죠...
자칫 잘못하면 500명 일자리 잃게 되는데요
조언 감사합니다. ㅎㅎㅎ
아닌 밤중에 홍두깨?????
마닐라 최저임금610페소 맞습니다. ㅎㅎ
전 한국은 몰라요... 필리핀에서 공장하고 있으니요.
고객사에서 한국임금으로 공임을 주지는 않죠.
임금이 1년전하고 비교해서 35%가 올랐으니, 최저임금 많은 오른거죠
고객사에서 공임 올려줄 일은 없잖아요.
정신차리고 살아야죠...
자칫 잘못하면 500명 일자리 잃게 되는데요
조언 감사합니다. ㅎㅎㅎ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No. 94516
Page 1891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