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고 카톡
친추
필리핀 순살자이?(5)![]()
Views : 2,562
2023-08-02 00:13
자유게시판
1275445517
|
6년전 만달루용 아쿠아콘도 20층에 살때 바로 앞에 쇼핑몰 공사하는걸 지켜본적이 있어요.
일단 우리랑 건축방식 차이는 철골엮기더군요. 필리핀은 이 철골구조를 엄청 촘촘하게 구성해서 건물을 질기게 짓고 우리나라는 필리핀같이 하진 않더라고요.
가만보면 공기 대부분이 이 철골구조물 설치였는데 이건 완전 사람손으로 하니 공사기간이 세월아네월아 하더군요.
아마도 지진때문인지 필리핀 콘도들 엄청 튼튼하게 짓습니다. 마닐라도 웨스트 밸리 단층이 종으로 관통하기에 항상 big one, 즉 대지진에 대한 공포는 있습니다. 따라서 대부분 초고충 콘도는 진도 8에 맞춘다고 하는데 사실 지진이 실제 오기 전엔 알 수 없죠. 이 단층이 보니파쇼 바로 옆을 통과합니다.
단 이렇게 부정부패가 횡횡한 나라가 건축법은 저렇게 지키는게 신기하긴 하더라구요. 예컨데 터키 대지진보면 대부분의 건물들이 다 부실공사고 무너진 형태를 보면 규정의 3분 1도 철근을 넣지 않은거 같아요. 암반에 기초를 심지도 않았어요. 따지면 터키가 더 부패했나 싶기도 합니다.
요즘 우리나라도 순살자이,무르지오,붕괴파크 등등 유명한데 광주 아이파크 무너진거 보면 필리핀 콘도랑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구조적으로 취약한게 보입니다. 심지어 세대 간 벽도 내력벽이 아니고 가벽이었다고 합니다.
사진보세요. 아무리 강화콘크리트라도 저렇게 짓는게 맞나요? 아마추어인 제 눈에도 황당한데 한국 아파트 건축은 도대체 이해가 안가내요. 아마도 최대한 빨리 재건축 하도록해서 미래 먹거리를 만드는거 같아요.
일단 우리랑 건축방식 차이는 철골엮기더군요. 필리핀은 이 철골구조를 엄청 촘촘하게 구성해서 건물을 질기게 짓고 우리나라는 필리핀같이 하진 않더라고요.
가만보면 공기 대부분이 이 철골구조물 설치였는데 이건 완전 사람손으로 하니 공사기간이 세월아네월아 하더군요.
아마도 지진때문인지 필리핀 콘도들 엄청 튼튼하게 짓습니다. 마닐라도 웨스트 밸리 단층이 종으로 관통하기에 항상 big one, 즉 대지진에 대한 공포는 있습니다. 따라서 대부분 초고충 콘도는 진도 8에 맞춘다고 하는데 사실 지진이 실제 오기 전엔 알 수 없죠. 이 단층이 보니파쇼 바로 옆을 통과합니다.
단 이렇게 부정부패가 횡횡한 나라가 건축법은 저렇게 지키는게 신기하긴 하더라구요. 예컨데 터키 대지진보면 대부분의 건물들이 다 부실공사고 무너진 형태를 보면 규정의 3분 1도 철근을 넣지 않은거 같아요. 암반에 기초를 심지도 않았어요. 따지면 터키가 더 부패했나 싶기도 합니다.
요즘 우리나라도 순살자이,무르지오,붕괴파크 등등 유명한데 광주 아이파크 무너진거 보면 필리핀 콘도랑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구조적으로 취약한게 보입니다. 심지어 세대 간 벽도 내력벽이 아니고 가벽이었다고 합니다.
사진보세요. 아무리 강화콘크리트라도 저렇게 짓는게 맞나요? 아마추어인 제 눈에도 황당한데 한국 아파트 건축은 도대체 이해가 안가내요. 아마도 최대한 빨리 재건축 하도록해서 미래 먹거리를 만드는거 같아요.
인공지능 답변
필리핀에서는 철골구조의 건축방식으로 건물을 매우 튼튼하게 짓습니다. 이는 지진 대비를 위해서입니다. 필리핀은 지진 위험이 높은 지역이기 때문에 건물의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합니다. 필리핀의 콘도들은 대부분 지진 강도 8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부패가 횡횡한 나라인데도 불구하고 건축법은 엄격하게 지켜지고 있습니다.
한편, 한국의 아파트 건축은 필리핀과 비교할 때 구조적으로 취약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광주 아이파크가 붕괴된 사건을 보면 강화콘크리트로도 이용되는 건물이지만 구조적인 결함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재건축을 위한 미래 먹거리를 만드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습니다.
한편, 한국의 아파트 건축은 필리핀과 비교할 때 구조적으로 취약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광주 아이파크가 붕괴된 사건을 보면 강화콘크리트로도 이용되는 건물이지만 구조적인 결함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재건축을 위한 미래 먹거리를 만드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습니다.
영원한하루 [쪽지 보내기]
2023-08-02 00:31
No.
1275445520
특히 코로나 시기 2020년~2022년에 지어진 아파트는 더 조심해야 한다고 하더라고요 수주하고 나서 갑자기 원자재값 오르고 전쟁으로 수급도 어려웠다고 뉴스에서 그러는데요. 제가 전문가는 아니지만 여러 뉴스보면 좀 심각한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앞으로 자연재해로 큰 사고가 나면 안되지만 어쩔수 없이 그렇게 사고나서 바뀌지 않을가하는 불길한 생각이 드네요 사고 안나기를 기도해야겠습니다.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Baturo [쪽지 보내기]
2023-08-02 01:08
No.
1275445528
@ 영원한하루 님에게...
광주 아이파크 사진보면 문제의 뿌리가 깊은거 같아요. 지진이라도 나면 큰일이죠.
광주 아이파크 사진보면 문제의 뿌리가 깊은거 같아요. 지진이라도 나면 큰일이죠.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killkai [쪽지 보내기]
2023-08-02 09:24
No.
1275445570
건축현장에 만연한 비리죠.. 누군가는 빼먹은 철근 만큼 주머니를 불리는..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Diji Pit [쪽지 보내기]
2023-08-02 18:34
No.
1275445704
단단하겠네요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메트로필 [쪽지 보내기]
2023-08-03 09:45
No.
1275445830
몇년전에 진도 7.4였나 그때도 마닐라쪽은 엄청 흔들리긴 했지만 아무 피해없었는데 8이상 대비해서 콘도 짓는건 맞는거 같습니다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No. 98211
Page 1965


Grab vs indrive (6)
청아한사랑
572
08:32


유기현을 찾습니다
(2)
Peter
520
02:52



악질 사기꾼 조심하세요
dowuie22231
1,001
25-05-10



ecc 관련 질문 (3)
moregood
831
25-05-10


대선후보 강제 교체 ㅎㅎㅎ (3)
1
SaveEarth
727
25-05-10



마닐라 사기꾼 송영욱(sam)사진 코인환전사기꾼
(1)
philtour83
1,042
25-05-10



심각하네요.
(11)
tte Lo
4,044
25-05-08


Deleted ... !
(3)
Peter
16,359
25-05-08


Deleted ... ! (6)
자국민보호연...
28,327
25-05-08

Deleted ... !
(2)
자국민보호연...
25,636
25-05-08


Deleted ... !
(5)
Peter
30,480
25-05-07


사기꾼 피해자가 한둘이아닙니다 꼭조심하세요
(5)
dowuie22231
43,832
25-05-06


현재 앙헬레스 상황 궁금합니다
(6)
l1ii1il1i1li1l
48,059
25-05-06


또 일이 일어났습니다. (13)
wassup
76,822
25-05-06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